• HOME
  • 학과소개
  • 문화예술경영학과
  • 교과목 소개

교과목 소개

문화예술기관연구(Research on Culture and Art Institutions)
국내외 문화예술기관과 단체의 법적 형태와 특성, 그리고 활동분야에 대한 조사,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인 운영과 전략적 활동 방안을 연구하는 한편, 문화예술기관 경영에 있어서 운영 역량과 더불어 공공성과 기업성, 영리성과 비영리성 추구에 대하여 심층 분석한다.
문화예술마케팅전략연구(Marketing Strategies in Culture and Arts)
문화예술경영전략 개발을 위해 문화예술경영의 역사와 흐름을 이해하며, 문화예술경영의 학문적 근거를 학습한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경영의 역사적 전개와 쟁점, 예술현상의 특수성을 기반으로 한 연구방법론 연구, 문화예술경영 전문인의 자질과 리더십, 브랜드 및 특성화 전략 연구, 마케팅 및 관객개발 연구, 회계와 재원조성, 조직운영 등의 다양한 연구 단위와 함께 21세기 문화예술경영이 지향하는 전략구축 방법을 통합적 방법론과 사례연구를 통해 습득한다.
문화예술창업론연구(Research Project for Start-up in Culture and Arts)
문화예술 활동을 통한 창업방법에 대한 심층적인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하여 창업 아이템과 사업 개발을 위한 창의력 배양과 행동역량 강화 등에 필요한 실질적인 지식과 창업 매개자로서의 역할을 위한 능력개발방법론을 연구한다.
문화예술복지론연구(Cultural and Social Welfare)
문화예술 인력의 복지현황과 쟁점, 정책적 개선과제 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다양한 국내외 사례연구를 통해 비교, 분석 연구하는 동시에 이와 더불어 문화소외계층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학문적 근거연구를 통한 문화예술복지 증진방안에 대하여 심층적이고 다각적으로 연구한다.
문화소비자행동분석연구(Business Analysis in Art)
소비자학을 기반으로 문화소비자의 행동을 이해하고 이들을 설득시키는 전략을 비롯하여 소비자의사결정과정, 소비자의 기억, 신념, 태도, 판단 등에 대한 이론과 학문적 근거연구, 사례연구 등을 통하여 학습하고 연구한다.
기업문화마케팅전략론(Cultural Marketing Strategies in Corporation)
최근 기업에서 시도하는 문화를 통한 마케팅의 다양한 접근과 실제를 익히며, 기업문화마케팅의 다양한 측면에서의 효과를 이해함으로써 기업 영역에서의 문화예술경영의 실질적인 접목을 시도한다.
조직경영행동론연구(Studies on Management Techniques)
문화자원의 다양한 자료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하여 자료의 수집, 분류, 등록, 보존, 관리 등에 대한 기초적인 관리 요소와 과학적 관리시스템을 통한 자료 보관과 활용 방안에 대해 실질적인 학습을 한다. 그리고 최근의 아카이빙의 기능과 역할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디지털 아카이브의 국내외 개발 사례를 살펴보고 문화예술자원의 디지털화 과정에서 필요한 기술적 특성을 이해하고 학습하는 동시에 문화자원의 미래지향적인 경영방안을 심화 연구한다.
지역재생과 지역문화개발연구(Regional Regeneration from Cultural Perspectives)
지역문화예술자원을 개발, 발전시킨 국내외 사례연구를 비교, 분석 연구함으로써 지역재생을 위한 지역문화자원의 발굴, 수집, 재수집하는 방안을 이론적 차원뿐만 아니라 현장답사와 경험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학습하고 실무능력을 습득한다.
전통문화산업론 (Theories on Traditional Culture Industry)
미학, 미술사, 인류학, 고고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의 통합적 이론과 분석틀을 통하여 한국과 아시아의 전통문화에 대하여 연구하는 동시에 문화산업적으로 발전, 진흥방법과 미래지향적 가치를 탐구한다. 아시아 각국의 전통문화의 문화산업적 사례들을 집중 분석 연구함으로써 한국의 전통문화와 지역문화의 지속발전 가능성을 전통문화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문화산업적 탐구를 도모한다.
도시계획과 문화정책(Urban Planning and Cultural Policies)
도시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각종 사회·문화적 현상과 지역의 성장과 발전, 지역경제 및 주택, 교통, 환경 등과 관련된 도시행정 및 정책체계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이에 수반되는 문화정책에 대한 이론적 연구 및 발전적인 정책 대안을 심층 연구한다.
창조도시와 문화경영(Creative Urban Culture)
다양한 도시학적 개념과 문화예술경영학적 분석틀을 바탕으로 창조도시에 대한 이해를 학습하는 동시에 실무적인 도시문화와 관련된 쟁점과 이슈들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지향적인 도시계획 구축 방안과 지속적인 발전가능성에 대해 심층 연구한다.
미술관박물관경영론(Theory of Museum Management)
박물관ㆍ미술관 형성을 중심으로 박물관 경영의 이론적 발전과 핵심적인 개념을 경영학적 이론과 사례연구를 통하여 학습하는 한편, 시대적 변화에 관람객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과 관람객 개발, 시장조사, 마케팅 기획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과 21세기 박물관의 사회적 기능의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경영방식의 도출 방안을 다각적으로 연구한다.
미술시장연구(Studies on Art Market)
미술시장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미술시장의 역사와 흐름, 세계적 동향 등을 학습하여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실무 능력을 배양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아울러 미술시장의 구조 및 역사에서부터 실제 미술시장의 제반 상태와 문제점, 가격 책정과 유통구조의 합리성, 작가 관리 및 프로모션, 한국 미술시장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개선 과제 등을 사례연구를 통하여 비교, 분석한다.
공연예술마케팅론 (Theories of Performing Art Marketing)
공연예술단체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다각도로 접근함으로써 공연예술마케팅의 원리와 구조를 이해하고 연구한다. 동시에 공연예술마케팅의 기본 방향 및 배경 지식, 마케팅 전략, 커뮤니케이션, 광고 및 판촉활동, 홍보 등의 기법을 다각적으로 훈련하고, 다양한 형태의 공연장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실무 프로세스와 전문 인력의 역할과 기능을 학습하여 공연장 경영의 실제적 이해와 실무 능력을 습득한다.
총체예술콘텐츠개발연구(Studies on Contents Development in the Arts)
시각예술과 공연예술, 영상예술, 신체예술뿐만 아니라 만화, 애니메이션, 뮤지컬 등의 대중문화가 하나로 결합한 총체예술에 대한 학문적 근거와 이론을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총체예술작품 분석과 경향 분석을 학습하여 총체예술을 가반으로 한 문화예술 콘텐츠를 개발하는 방식을 익혀 동시대 문화예술 현장에서 요구하는 총체예술의 기획력과 운영능력을 체계적으로 습득하고 배양한다.
상품미학과 문화상품개발론(Aesthetics of Cultural Products)
상품 형식과 문화산업, 창조산업 등을 통하여 생산, 소비, 유통하는 창의적인 문화콘텐츠와 디자인 상품 등을 상품 미학적 이론과 근거를 기반으로 연구하며 실제 사례조사와 분석을 통한 문화상품과 문화콘텐츠 시장의 생태계와 구조 이해와 시장 변화에 신속하게 적응하는 자가 능력을 도모한다. 아울러 이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비평 방법을 학습하고 습득하여 창의적인 문화콘텐츠 개발능력을 배양한다.
문화예술인재개발관리론(Studies on Human Resources in Culture and Art)
문화예술계의 새로운 전문 인적 자원을 발굴하고 육성, 관리하기 위한 인적 경영과 확보 전략방안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동시에 차별화된 인적 관리와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방법 등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이론적 근거와 사례연구를 통하여 학습하고 습득한다.
문화재개발과 관리연구(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ultural Assets)
유·무형의 문화재의 가치와 효율적인 활용 및 보존을 위해 관련 법규 체계와 현황, 그리고 과학적인 보존·관리 방법과 정보 공유 등 문화재의 체계적인 개발과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다각적으로 연구하고 아이와 관련된 시사적인 이슈와 쟁점들을 국내외 사례연구를 통해 조사, 비교 연구한다.
지적재산권경영론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과 문화예술자원 관리 등 지적재산권과 관련된 법률적 쟁점들과 실제사례들을 조사 연구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경영능력과 대응능력 및 문제 해결방안 등을 체계적으로 습득한다.
재원조성론연구 (Studies on Fundraising)
국내 문화단체에 대한 지원 정책과 현황을 파악하고 후원자와 지원대상자 간의 관계 등을 조사, 연구함으로써 문화예술단체 및 기관에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지원과 환경 구축 방안 및 재원조성을 위한 다양한 전략과 활동 등을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하여 다각도로 연구한다.
재무회계연구(Financial Accounting)
문화예술단체와 기관의 경영활동과 운영과 관련된 재무의사결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응용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기업재무에 관한 시사적인 이슈와 쟁점들을 연구하고 이를 문화예술단체의 경영에 응용, 적용하는 전문지식과 능력을 배양하고 재무회계처리방안을 습득한다.
사회조사방법론연구(Social Research and Data Analysis)
문화예술계의 생태적 구조와 변화에 대한 시기적절한 이해와 더불어 사회현상과의 적절한 관계 분석을 위해 사회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과학적 지식을 산출해 내는 사회조사방법의 이론적 배경뿐만 아니라 원리와 구체적인 기법, 다양한 조사방법 등을 학습하고 습득하여 문화예술계의 현상 파악에 응용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사회통계분석연구(Social Statistics Analysis)
사회정보의 수집·분석·활용을 목적으로 하는 수리통계학의 계량적 연구를 도입, 문화예술계의 단체나 기관 등에서 필요로 하는 자료와 빅데이터 등 각종 통계자료 작성과 분석방법에 대한 실질적인 이론적 이해를 학습하나. 뿐만 아니라 실제자료의 분석을 통한 적용 방법 및 기법 등을 습득하여 실무능력을 심화한다.
사례조사연구세미나 1/2(Case Investigation Research)
문화예술경영과 관련된 가상의 단체 혹은 사업 모델을 설정하여 이와 관련된 실제 사례연구를 조사, 분석하는 한편, 이를 기반으로 하는 문화예술경영 프로그램을 시뮬레이션으로 실제 기획, 운영하여 실전 능력을 함양한다.
인턴십 1 / 2(Internship 1/ 2)
대전·충남권역의 문화예술단체와 유관시설에 파견되어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실무자를 통하여 문화예술경영에 필요한 실질적인 현장경험과 실무능력과 습득하고 배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