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학과소개
  • 미디어영상학과
  • 교과목 소개

교과목 소개

3D 컴퓨터애니메이션 연구(3D Computer Animation)
본 교과목은 3D컴퓨터애니메이션과 연계되는 VR, AR, MR, XR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3D애니메이션 신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3D애니메이션 기술개발에 있어 완성되는 과정까지 학생-지도교수-기업체가 공동으로 참여하여 새로운 사고와 아이디어를 프로젝트로 구체화하고, 프로젝트를 통해 3D애니메이션 콘텐츠 개발의 현장 실무능력을 습득하는 것을 학습목표로 한다.
UX 디자인 연구(Studies in User Experience Design)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환경과 사용자의 연결에 있어서 UX디자인은 가장 중추적인 미디어 디자인 산업 분야로 성장하고 있는바, 휴먼센터드디자인 중심의 문제 설정과 문제 해결을 위한 컴퓨테이셔널디자인에 이르는 전반의 UX디자인시스템 프로세스를 연구한다.
XR 미디어 콘텐츠 스튜디오Ⅰ(Extended Reality Media Contents Studio Ⅰ)
본 교과목은 메타버스 환경 기반의 창의적인 가상 미디어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본 프로젝트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는 개인 또는 구성된 각각의 팀들이 아이디어에서 상품개발까지 가상 미디어 콘텐츠 개발의 전 과정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매주 XR 콘텐츠 개발 과정의 분야별 강의 및 워크숍이 진행되고, 수강생들은 선택한 XR 콘텐츠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기본적인 프로토타입으로 구현하는 것을 학습목표로 한다.
XR 미디어 콘텐츠 스튜디오Ⅱ(Extended Reality Media Contents Studio Ⅱ)
반복학습 수련을 통하여 <시창작론Ⅰ>에서 체득한 시창작 능력을 심화한다. 비평, 첨삭지도는 물론 작품 합평회 등도 실시한다
소설창작론Ⅰ(Writings of NovelⅠ)
본 교과목은 메타버스 환경 기반의 창의적인 가상 미디어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업연계형 프로젝트 고급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는 개인 또는 구성된 각각의 팀들이 기업체의 과제(Design Challenge)를 수행하기 위해 프로젝트 기획 및 관리, 체계적인 문제해결, 그리고 아이디어에서 상품으로의 가상 미디어 콘텐츠 개발 전 과정을 탐색한다. 또한, 콘텐츠 개발 과정에 따라 제품-서비스-시스템 측면의 다층적 프로젝트 교육방법으로 창의적인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참여 기업체의 과제를 수행하는 것을 학습목표로 한다.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 스튜디오Ⅰ(Digital Media Design Studio Ⅰ)
정보의 전달, 엔터테인먼트, 예술적 표현 등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지털 미디어 타이틀을 디자인하기 위한 프로덕션 과목이다. 이미지, 사운드 애니메이션 등 풍부한 디지털 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하여 관련 학문의 체계를 기획하고 정리한다.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 스튜디오Ⅱ(Digital Media Design Studio Ⅱ)
다양한 영상제작 기술과 지식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방송 타이틀 영상과 관련된 작품 제작을 통해 콘텐츠 제작을 연구한다. 온에어 프로모션 방송 타이틀 분야의 구성요소 및 성공적 저작을 위한 요건 등을 이론과 주요 제작 사례의 검토를 통하여 실습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디지털 콘텐츠 연구(Digital Contents)
본 교과목은 산업 전반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에 대응하고 디지털 콘텐츠 분야에 입문하려는 수강생들에게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의 기초 이론 및 신기술 융합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창의력의 향상 및 문제점 해결능력들과 설계과정 및 방법론, 브레인스토밍과 같은 의사소통을 학습하고 프로젝트 방법론에 관하여 연구하는 것을 학습목표로 한다.
디지털 영상편집 워크샵(Digital Video Editing Workshop)
영상의 후반제작단계에 대한 이론과 기술을 학습한다. 영상의 완성도에 있어 핵심적인 표현기법인 편집에 대한 이론, 작품분석, 실습 등을 통하여 영상편집 방식에 대한 이해와 분석력을 기른다.
디지털 포토그래피 연구(Digital Photography)
디지털 카메라와 컴퓨터를 사용하여 진행하는 수업으로 디지털 영상의 원재료로서의 실사 이미지를 촬영하고 컴퓨터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그래픽 이미지의 기본 구성원리를 이해하고 일련의 이미지들을 영상내러티브 구조에 따라 배치해 봄으로써 내러티브와 이미지의 상호 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스토리보드와 콘티를 작성하고 영상 이미지의 촬영 및 구성 과정을 통해 아이디어의 발상 단계로부터 표현을 통한 소통 단계에 이르는 작업의 흐름을 이해하고 영상 기획에 대한 개념을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영상 표현 실험을 통해 창의성을 연구한다.
모바일 콘텐츠 제작 워크샵(Mobile Content Creation Workshop)
모발일 기기에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일반 시스템이나 네트워크를 통해 활용되는 콘텐츠와는 다른 특성을 갖게 되므로, 원활한 모바일 서비스를 위해 모바일 시스템 구조에 대하여 연구한다. 또한 앱개발을 위한 관련 소프트웨어를 학습한다..
모션그래픽 프로젝트Ⅰ(Motion Graphic Project Ⅰ)
선행된 모션그래픽 연구에 연계되는 모션그래픽 교과의 중급과정으로 다중융합 환경의 새로운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확장되는 뉴미디어 콘텐츠 디자인 구성요소의 시공간적 움직임을 타이포, 컬러, 포맷티브, 레이아웃, 애니메이션 등의 브랜드경험 디자인시스템을 기반으로 연구한다.
모션그래픽 프로젝트Ⅱ(Motion Graphic Project Ⅱ)
선행된 모션그래픽 프로젝트Ⅰ에 연계되는 모션그래픽 교과의 고급과정으로 다중융합 환경의 사회적 가치실현을 위한 포용적 뉴미디어 콘텐츠를 기획하고 사용자의 시공간 정보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타이포, 컬러, 포맷티브, 레이아웃, 애니메이션 등의 브랜드경험 디자인시스템을 구축한다.
미디어 연구 방법론Ⅰ(Media Research Methodology)
미디어에 대한 과학적 연구방법론의 이론적, 논리적 기초를 확립하고, 독자적으로 연구과제에 대한 조사설계, 자료수집, 분석의 전 과정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연구(Media Communication)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현상, 효과, 수용자 특성 등과 관련된 제반 이론을 학습하고,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연구영역에 대한 연구 설계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방송기획제작 연구(Broadcast planning & production)
방송 프로그램의 기획, 구성, 촬영, 편집에 이르는 전 과정의 실무이론 및 제작방법을 연구한다.
방송영상 프로젝트Ⅰ(Studies in Copywriting)
다양한 방송제작 기술과 지식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영상제작 관련 실무 프로젝트 수행 능력을 배양한다.
방송영상 프로젝트Ⅱ(TV Production ProjectⅡ)
방송제작 프로젝트 심화과정으로 방송영상의 장르 분야별 특성과 의미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보다 전략적인 관점의 방송영상 프로젝트 수행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비주얼 프로그래밍 연구(Studies in Literature for Broadcasting)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은 다양한 툴과 프로그래밍 언어의 적용에 의해 가능하다. 또한 보다 적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 사용가능한 최신 툴과 다양한 비주얼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하여 학습한다.
사물인터넷기술 프로젝트Ⅰ(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ProjectⅠ)
인터넷통신, 웹(홈페이지), 모바일, 클라우드, 미디어 및 디자인 등의 다양한 IT 기술간 융합을 통한 사물인터넷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이러한 사물인터넷관련 다양한 기술들의 이론 및 실습을 통해 새롭고 창의적인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능력 배양을 목표로 한다.
사물인터넷기술 프로젝트Ⅱ(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ProjectⅡ)
사물인터넷기술 프로젝트의 심화과정으로써, 일반적인 인터넷통신, 웹(홈페이지), 모바일, 클라우드 기술과 사물인터넷의 심도 있는 응용을 위한 유비쿼터스, 임베디드 H/W 및 S/W의 기술들을 추가한 다양한 기술들의 이론 및 실습을 통해 새롭고 창의적인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능력 배양을 목표로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연구(Studies in User interface)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환경의 뉴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환경은 인류의 뉴노멀 라이프스타일의 수단으로써 확장된 인터페이스를 요구하고 있는바, 모바일, 웨어러블, 메타버스, IoT, 서비스 로봇, 커넥티트 카 커뮤니케이션에 이르는 초연결 다중 융합 환경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연구한다.
사용자경험디자인 스튜디오Ⅰ(User Experience Design Studio Ⅰ)
선행된 UX디자인 연구에 연계되는 사용자경험디자인 교과의 중급과정으로, 로컬(국내) 환경의 지속가능 개발목표(SDGs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근간한 프로젝트의 문제 방향 설정과 문제 해결을 위한 에스노그라피 및 컴퓨테이셔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이르는 사용자경험 디자인시스템 프로세스를 연구한다.
사용자경험디자인 스튜디오Ⅱ(User Experience Design Studio Ⅱ)
선행된 UX디자인 연구에 연계되는 사용자경험디자인 교과의 고급과정으로, 글로벌(국외) 환경의 지속가능 개발목표(SDGs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근간한 프로젝트의 문제 방향 설정과 문제 해결을 위한 에스노그라피 및 컴퓨테이셔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이르는 사용자경험 디자인시스템 프로세스를 연구한다..
소프트웨어 설계 프로젝트 연구(Software Design Project Research)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도움을 받아야 정상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기법에 대한 연구는 실제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향후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고려하여 요구사항을 반영하는 기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Ⅰ(Software ProjectⅠSoftware ProjectⅠ)
멀티미디어를 손쉽게 개발하거나 편집, 가공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실제로 제작하여 보고, 이를 통해 멀티미디어의 특성을 이해하도록 한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관련 프로그래밍과 데이터베이스를 이해하고 학습한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Ⅱ(Software ProjectⅠSoftware ProjectⅡ)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의 심화과정으로써, 멀티미디어를 손쉽게 개발하거나 편집, 가공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실제로 제작한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심도 있게 소프트웨어 공학기법을 적용하여 관련 프로그래밍과 데이터베이스를 이해하고 학습한다.
어드벤처 디자인 연구(Adventure Design)
학생들의 아이디어와 융합기술분야 관련지식을 활용하여 완성 또는 창출된 아이디어와 결과물을 지역사회 및 지역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학생 스스로 자율적인 창의적 문제 해결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자기주도형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 융합 문제해결능력, 협업능력, 실무능력을 함양하여 자기주도형 능력을 육성한다.
웹 프로그래밍 프로젝트Ⅰ(Web Programming ProjectⅠ)
멀티미디어를 표현하고 있는 인터넷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하여 학습하여 홈페이지를 제작한다. 언어로는 HTML 5, CSS3, 스크립트언어를 이용하여 표현(프로그래밍)할 수 있는데 이러한 웹 프로그래밍 언어를 프로젝트 진행을 통하여 학습한다.
웹 프로그래밍 프로젝트Ⅱ(Web Programming ProjectⅠ)
웹 프로그래밍 프로젝트의 심화과정으로써, 멀티미디어를 표현하고 있는 인터넷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하여 학습한다. 언어로는 HTML, CSS3, 스크립트언어, PHP, JSP등 서버 스크립트언어로 표현되는 CGI(Common Gateway Interface)언어의 전반적인 구성원리와 동작,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표현(프로그래밍)할 수 있는데 이러한 웹 프로그래밍 언어를 프로젝트를 통하여 학습한다.
커머셜 영상 워크샵(Commercial Video Workshop)
새로운 매체 도입으로 인한 광고 산업 전반의 변화를 고찰하며, 이를 기반으로 커머셜 영상(CF), 커머셜 메시지(CM)를 기획, 제작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방송광고의 콘셉트 설정, 기획서 및 콘티 작성, 프레젠테이션 등에 비중을 두고 있으며, 전문적인 감각적인 영상을 익힘으로써 커머셜 영상의 근본적인 목표인 차별화의 구현을 위하여 다양한 사례들을 통하여 연구하며, 새로운 영상언어 개발에 주력한다.
컴퓨터그래픽 디자인 스튜디오Ⅰ(Computer Graphic Design Studio Ⅰ)
2D 컴퓨터 그래픽 실무 과정으로 일러스터레이터와 같은 2D그래픽 툴을 심화 학습하고 다양한 영상편집에 CG작업을 추가하여 그래픽디자인 방법을 연구한다. 또한, 영상편집 툴과 연동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소스의 그래픽디자인을 수행하고 영상그래픽 디자인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형성시키는 데 목표를 둔다..
컴퓨터그래픽 디자인 스튜디오Ⅱ(Computer Graphic Design Studio Ⅱ)
2D 컴퓨터 그래픽 실무 과정으로 일러스터레이터와 같은 2D그래픽 툴을 심화 학습하고 다양한 영상편집에 CG작업을 추가하여 그래픽디자인 방법을 연구한다. 또한, 영상편집 툴과 연동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소스의 그래픽 디자인을 수행하고 실무와 연계한 프로젝트 진행으로 현장성을 높이는 데 목표를 둔다.
컴퓨터그래픽 디자인 연구(Computer Graphic Design)
다양한 컴퓨터그래픽 소프트웨어를 학습하며, 디지털 환경에서의 컴퓨터 Production과 디자인 표현능력을 기른다. 또한 컴퓨터그래픽 프로그램의 개념과 기법을 습득하고 이를 활용하여 원하는 디자인을 컴퓨터 작업을 통해 최종 결과물로 도출시키는 능력을 함양하는 과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