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과목 소개
- 문학개론(Introduction to Literature)
- 문학의 역사, 개념, 장르, 용어 등에 관한 개념을 확립하고, 문학의 여러 장르에 대한 기초 이론을 문예창작의 관점에서 이해한다.
- 문학과 사회(Literature and Society)
- 문학이 사회와 갖는 관계에 중점을 두고 인접분야와의 영향을 이해한다. 사회학의 관점에서 문학의 사회적 기능, 사회문화적 구조와 문학, 문학체계의 사회학적 접근방법 등을 연구한다.
- 시창작론Ⅰ(Writings of Poetry Ⅰ)
- 시의 본질과 특성을 파악, 실제 작품 쓰기를 통해 시작 능력을 고양한다. 첨삭지도, 강평 등의 방법을 통하여 시를 쓸 수 있도록 시적 상상력 및 기교 등을 계발한다.
- 시창작론Ⅱ(Writings of Poetry Ⅱ)
- 반복학습 수련을 통하여 <시창작론Ⅰ>에서 체득한 시창작 능력을 심화한다. 강평, 첨삭지도는 물론 작품합평회 등도 실시한다.
- 소설창작론Ⅰ(Writing of Novel Ⅰ)
- 소설 창작에 필요한 이론을 토대로 실제 작품 쓰기를 통해 소설 창작 능력을 고양한다. 첨삭지도, 강평 등의 방법을 통하여 좋은 소설을 쓸 수 있도록 문체, 구성 및 상상력 등을 계발한다.
- 소설창작론Ⅱ(Writing of Novel Ⅱ)
- 반복학습 수련을 통하여 <소설창작론Ⅱ>에서 체득한 소설 창작 능력을 심화한다. 강평, 첨삭지도는 물론 작품 품평회 등도 실시한다.
- 외국문학연구(Studies in Foreign Literature)
- 동ㆍ서양 문학의 통시적 전개를 살피고 외국이론과 그 배경을 이해하면서 구체적인 텍스트를 분석하고 창작과정에 응용한다.
- 번역문학론(Studies in Literature Translation)
- 한국 문학의 세계화에 기여하기 위하여 한국문학의 번역과 해외 소개의 현황을 살피고 대안을 모색한다. 번역문학의 이론, 실제를 익힘으로써 창작능력과 번역소양을 겸비하도록 한다.
- 아동문학론(Writings of Children Literature)
- 아동문학의 본질과 장르에 대한 이해와 한국 현대 아동 문학사의 흐름을 알게 하고 아동문학의 감상능력과 창작능력을 배양한다.
- 비평창작론(Writings of Criticism)
- 비평의 정의 및 기능을 이해하고 비평의 변천과정을 방법론적 차원에서 분류ㆍ고찰하여 비평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체계적인 사고를 가지게 한다. 또한 문학현장 속에서 실제로 분석ㆍ비평한다.
- 수필창작론(Writings of Essay)
- 생활문학으로서 통용되고 있는 수필문학의 속성이나 방법 및 발전과정을 탐구하고, 실제 수필창작 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 희곡창작론(Writings of Drama)
- 희곡 창작에 필요한 이론과 실제 창작을 통하여 실기를 배우며 작품의 각색 등을 익힌다.
- 시이론과실제(Studies in Poetry)
- 시 창작에 필요한 동서고금의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게 하고 실제 작품을 통하여 그 이론을 체계화하여 창작능력을 제고한다.
- 소설이론과실제(Studies in Novels)
- 소설의 기원, 성격, 구조, 유형 등을 규명하고 소설의 여러 경향과 특성을 이해하여 실제 소설 창작에 활용토록 한다.
- 서양문학이해(Understanding of Western Literature)
- 유럽과 미국문학을 중심으로 고전주의, 낭만주의, 상징주의, 자연주의, 초현실주의 및 최근의 문학논의 등 광범위한 문예사조를 통해서 서양문학 전반에 대해 연구한다.
- 동양문학이해(Understanding of Oriental Literature)
- 한국, 중국, 일본을 포함한 동양 제국의 문학사의 전개를 살펴보고 구체적인 작품과 작가를 살펴 문학의 폭을 넓게 이해한다.
- 문예창작세미나Ⅰ(Seminar in Literary Creation Ⅰ)
- 문학 작품에 대한 이해를 창작배경과 그 과정, 결과라는 측면에서 검토한다. 이로써 시인이나 작가들마다 특색 있는 창작방법론을 살핀다.
- 문예창작세미나Ⅱ(Seminar in Literary Creation Ⅱ)
- <문예창작세미나Ⅰ>의 심화과정으로서 작가 심리학적 차원에서 시인이나 작가의 심리문제를 치밀하게 파악한다.
- 매스컴론(Studies in Mass―Communication)
- 매스컴 일반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매스컴의 본질, 효과, 영향 등을 알아보고 이 분야에 연관된 이론과 실시를 강의함으로써 문학창작의 소양을 겸비한 전문인의 길을 지도한다.
- 카피론(Studies in Copywriting)
- 광고 카피와 광고언어론을 중심으로 광고 문안의 개념과 과정, 카피의 창조 등을 폭넓게 익혀 실무 진출을 위한 현장 감각과 능력을 연마한다.
- 출판편집론(Studies in Publishing Editorial)
- 출판, 편집, 신문의 편집이론 및 실무연구, 실질교육으로 현장적응 능력을 고양시킨다.
- 방송문학론(Studies in Literature for Broadcasting)
- 방송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이론적 배경을 통해서 앞으로 방송문학이 나아갈 방향과 지향점을 모색한다. 현대사회의 방송역할과 기능을 검토하고 실제 방송문학을 창작한다.
- 구성작가론(Studies in Practical Writings)
- 방송문학 일반에 대해서 개관하고 구성작가에게 필요한 매스컴 이해, 작품해석능력 및 각색방법 등을 다각도로 익힌다.
- 공연예술론(Studies in Performances)
- 공연 예술의 전반에 대한 검토와 이론적 배경을 통해서 실제 공연예술을 실습한다. 현대사회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공연예술의 현장적응능력을 키운다.
- 지역문학연구(Studies in Regional Literature)
- 대전ㆍ충남지역에 연고를 둔 문학인들의 문학세계를 중심으로 검토한다. 이로써 지역문학의 특성과 위치를 확인하고 정리한다.
- 시인연구(Studies in Poets)
- 한국현대 시문학사에 큰 정점을 이룬 시인에 대한 작품연구를 통하여 시창작의 기법과 현대 시사의 흐름을 익힌다.
- 작가연구(Studies in Authors)
- 현대 작가들의 문학사적 위상을 재정립하고 역사적ㆍ사회적 영향력 및 그 작가 고유의 문학성을 고찰한다.
- 현대문학특강(Topics in Modern Literature)
- 21세기에 즈음한 현대문학의 전반적 특성과 그 양태를 이해하고 논의되고 있는 실제 작품의 분석, 검토를 통하여 현대문학의 심층적 지평을 검증한다.
- 문학콘텐츠창작연구(Studies on Literary Contents)
- 다양한 문학작품 가운데서 콘텐츠로 바꿀 수 있는 작품에 대하여 탐사하고 각색과 실제 콘텐츠를 생산한다.
- 최신문학작가연구(Studies on Current Writers)
- 최근에 발표된 국내와 외국의 문학작품을 분석하고 텍스트의 가치와 문학적 특성을 이해한다.
- 동서문학비교연구(Studies on Oriental &Western Literature &Culture)
- 동양과 서양문학에 내재한 문화적 차이를 인지하고 이 차이가 어떤 문학적 양태와 담론으로 표현되는지 연구한다.
- 문학과 인접예술 연구(Studies on Literature &Related Art) (신설)
- 문학과 연관되어 있는 인접 예술들의 여러 유형과 성격 그리고 상호성을 분석하고 연구한다.
- 한국현대문학사(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중요한 현대작가의 작품을 분석하여 현대 한국문학의 형식적 양상과 역사 적 전통을 다각적으로 연구한다.
- 문학과 스토리텔링(Literature and Storytelling)
- 문예창작의 결과와 역량으로 다양한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실제 2차 창작으로 이어가는 창작실습을 통해서 외연을 확대해간다.
- 지역문화체험(Cultural Experience of a Region)
- 문학이 토대를 두고 있는 로컬로서의 지역 문화를 체험하고 그것을 활용하여 타 지역과 변별성 있는 문화로의 새로운 변용을 모색한다.
- 축제기획(Planning Festival)
- 지역마다 그곳의 문화를 바탕으로 다양한 축제 형식의 장을 기획하고 그 전개과정을 펼치고 실습한다.
- 아동문학창작론(Writing of Children Literature)
- 아동문학의 이론적 검토와 창작 방법을 이해하고 실제 작품의 창작을 통해서 창작역량을 강화한다.
- 문예과학론(Literary Science Theory)
- 문화와 예술을 과학적 관점과 아울러서 이해하고 새로운 방법론의 모색을 심화하고 체계화한다.
- 드라마창작론(Writing of Drama)
- 드라마에 대한 이해와 창작방법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실제 드라마를 창작하고 보다 문학성이 뛰어난 작품을 완성하도록 한다.
- 시나리오작법(Writing of Scenario)
- 시나리오에 대한 이해와 창작방법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실제 시나리오를 창작하고 보다 문학성이 뛰어난 작품을 완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