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과목 소개
- 한국복식사 특론 (Advanced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 한국복식을 고구려부터 현재에 이르기 까지 시대별로 살펴본다.
시대별 복식의 종류와 형태 색상 문양 그리고 장신구등을 현대복식과 현대 패션 산업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 한국 복식사 연구 (Study on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 한국복식을 고구려부터 현재에 이르기 까지 시대별로 역사와 문화를 살펴본 후 복식을 연구한다,
- 한국 전통 복식 세미나 (Korean traditional costume seminar )
- 우리나라의 전통 복식문화와 관련한 선행 연구논문에 대해 공부하고 토론함으로서 깊이 있는 연구를 한다.
- 전통 규방공예 세미나 (Traditional sewing craft works seminar )
- 전통 규방 공예에 관한 선행 연구논문에 대해 공부하고 토론함으로서 깊이 있는 연구를 한다.
- 전통 우리 옷 만들기 Ⅰ (Korean traditional dress making Ⅰ)
- 전통 우리 옷 만들기Ⅰ 에서는 남자 어린이의 저고리, 조끼, 마고자, 오방장두루마기, 풍차바지 등을 제작한다.
- 전통 우리 옷 만들기 Ⅱ (Korean traditional dress making Ⅱ)
- 전통 우리 옷 만들기Ⅱ 에서는 여자 어린이의 색동저고리, 스란치마, 색동당의 등을 제작한다.
- 전통 우리 옷 만들기 Ⅲ (Korean traditional dress making Ⅲ)
- 전통 우리 옷 만들기Ⅲ에서는 성인여자의 속속곳, 단속곳, 치마, 삼회장저고리 등을 제작한다.
- 전통 우리 옷 만들기 Ⅳ (Korean traditional dress making Ⅳ)
- 전통 우리 옷 만들기Ⅳ 에서는 조선시대 복식류를 고증 재현해본다.
- 한국 전통 예복 연구Ⅰ (Study on korean traditional formal dress Ⅰ)
- 한국 전통 예복 연구Ⅰ 에서는 원삼, 활옷, 당의 등 여자 예복을 공부하고 제작한다.
- 한국 전통 예복 연구Ⅱ (Study on korean traditional formal dress Ⅱ)
- 한국 전통 예복 연구Ⅱ 에서는 단령, 도포, 심의, 학창의 등 남자 예복을 공부하고 제작한다.
- 출토복식연구 (Study on korean traditional excavated costume)
- 조선시대 출토복식에 대해 연구하고 고증하여 만들어 본다.
- 전통쓰개와 복식공예Ⅰ (Korean traditional headdress &sewing craft works Ⅰ)
- 조바위, 풍차, 볼끼, 휘항, 호건, 복건, 토시, 아얌, 굴레 등 전통쓰개와 복식 소품류(타래버선, 솜버선, 돌띠, 토시, 배자 등)를 제작한다.
- 전통쓰개와 복식공예Ⅱ (Korean traditional headdress &sewing craft works Ⅱ)
- 전통쓰개와 복식 소품을 현대복식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전통 규방 공예Ⅰ (Korean traditional sewing craft works Ⅰ)
- 골무, 바늘꽂이, 주머니 등 조선시대 여인들의 규방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종류의 생활소품을 중심으로 제작 한다.
- 전통 규방 공예Ⅱ (Korean traditional sewing craft works Ⅱ)
- 전통 바느질기법을 이용하여 명주 조각보, 모시조각보, 여의주문보, 혼례용보 등 보자기류를 제작한다.
- 전통 규방 공예Ⅲ (Korean traditional sewing craft works Ⅲ)
- 전통 누빔기법을 이용하여 누비보자기, 누비주머니, 색실누비 쌈지, 색실누비 바늘집 등 누비소품류를 제작 한다.
- 전통 규방 공예Ⅳ (Korean traditional sewing craft works Ⅳ)
- 전통 자수기법을 이용하여 자수보자기, 자수주머니, 자수 바늘집 등 자수소품류를 제작한다.
- 한국 전통 장신구 연구 (Study on korean traditional accessory)
- 한국전통복식에 필요한 장신구를 연구하고 제작한다.
- 전통 염색 연구Ⅰ (Study on korean traditional dyeing Ⅰ)
- 명주, 모시, 삼베, 무명 등의 전통소재와 치자, 괴화, 쑥, 홍화, 쪽, 빈랑, 정향, 오배자, 소목 등의 천연염료를 사용하여 전통염색방법(침염과 복합염)을 습득한다.
- 전통 염색 연구Ⅱ (Study on korean traditional dyeing Ⅱ)
- 전통염색실습Ⅰ의 선행학습을 통하여 문양을 표현할 수 있는 날염과 교힐염, 납힐염 등의 염색방법을 습득한다.
- 문화상품개발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 전통규방공예Ⅰ,Ⅱ,Ⅲ,Ⅳ 와 전통염색실습Ⅰ,Ⅱ 등의 선행학습을 통하여 전통 바느질기법과 전통문양, 전통소재, 전통색상에 대해 이해한 후 한국적 이미지가 담긴 문화상품개발 제작한다.
- 전통 자수 연구Ⅰ (Study on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Ⅰ)
- 전통자수의 기초 기법을 이해하고 전통 자수소품을 제작한다.
- 전통 자수 연구Ⅱ (Study on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Ⅱ)
- 전통자수기법을 응용하여 생활에서 필요한 생활소품을 제작한다.
- 전통 매듭 연구 (Study on korean traditional knot)
- 전통매듭기법을 이해하고 생활소품에 응용할 수 있다.
- 전통 문양 디자인 (Korean traditional pattern design)
- 한국 전통 문양의 의미, 형태 그리고 색채 등을 이해하고 연구하여 현대 복식 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전통 직물학 (Korean traditional textile)
- 전통소재의 종류와 형태, 직조, 물성 및 특이 사항을 중심으로 학습한다.
- 의복재료학 특론 (Advanced textile)
- 의복재료로 사용되는 섬유와 섬유제품에 관한 올바른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적절히 선택ㆍ사용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의류소재 들의 제조ㆍ특성ㆍ용도 및 관리 등을 학습하며, 특히 직물, 편물 등의 피륙에 대하여 연구, 학습한다.
- 전통복식착용법 (Wearing method of Korean traditional dress )
- 전통복식에 대한 이론적 설명과 함께 조선시대 말기 남ㆍ녀 예복과 평상복을 실제로 착용해봄으로써 올바로 착용방법을 습득한다.
- 전통복식의 현대적응용Ⅰ (Modern 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dress Ⅰ )
- 전통복식의 디자인 요소를 응용하여 일상복, 외출복, 유니폼 등을 디자인하고 실제로 제작한다.
- 전통복식의 현대적응용Ⅱ (Modern 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dress Ⅱ )
- 전통복식의 디자인 요소를 응용하여 예복, 파티복, 특수복 등을 디자인하고 실제로 제작한다.
- 서양복식사 특론 (Advanced history of western costume)
- 서양 복식의 변천과정을 이해하고 연구한 후 현대 복식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 민속복식연구 (Study on folk costume)
- 세계 각국의 전통복식을 그 나라의 역사, 자연, 사회문화적 배경과 관련지어 고찰하고 나라별 민속의상에 따른 실루엣, 디테일, 소재, 색상을 이해하고 비교해본다.
- 서양의복구성 (Clothing construction)
- 전통복식의 현대적응용에 필요한 서양복의 기본이 되는 상의, 하의의 기본 패턴을 제작하여, 블라우스와 스커트를 제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