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과목 소개
- 디지털패션디자인연구(Studies in Digital Fashion Design)
- 디지털화하고 있는 패션산업의 전과정을 살펴보고, 이 가운데 패션디자인을 디지털 기기를 통해 진행한다.
- 색채와문화 연구(Studies in Color and Culture)
- 색채의 문화적 의미를 연구하고, 색채를 통해 복식 문화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 색채와이미지(Fashion and Image)
- 색채, 이미지에 대한 문헌연구와 패션디자인에서의 색채, 이미지의 활용예를 분석한다. 이를 통합하여 패션디자인에서 색채와 이미지를 창조적으로 적용해 본다.
- 지속가능패션디자인연구(Studies in Sustainable Fashion Design)
-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개념을 문헌적으로 고찰하고, 실제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탐구한다.
- 패션과미디어(Fashion and Media)
- 현대 미디어의 특성들에 대해 알아보고, 패션에서 활용되는 미디어의 변천 연구를 통해 패션 미디어의 특징을 고찰한다. 또한 대표적인 패션 미디어 사례를 분석해 봄으로써
패션 미디어 활용에 관한 비평적 시각을 배양한다.
- 패션과영화(Fashion and Cinema)
- 영화에 나타난 패션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시대적 미와 패션의 관계에 대해 이해한다. 또한 패션의 한 분야로서 영화의상에 대해서 총체적 시각을 갖는다.
- 패션과예술(Fashion and Art)
-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예술과 복식의 관계에 대해 알아본다. 각 시대의 예술양식과 복식양식, 문화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예술과 복식이 시대문화적 특징을 공유함을 이해한다.
- 패션과조형(Fashion and Formation)
- 디자인 요소인 형태를 중심으로 패션을 분석한다. 패션 형태를 문화적, 미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패션 조형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다.
- 패션디자인방법론(Theory of Fashion Design Methods)
- 2패션디자인과정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폭넓게 진행하고, 디자인과 제작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창조적인 패션디자인을 위해서 아이디어 발상과 전개 능력, 이를 실현하는 능력을 훈련한다.
- 패션디자인비교분석연구(Studies in Comparative Analysis for Fashion Design)
- 디자인의 문화적 의미, 디자인 원리와 요소 등을 아울러 패션디자인을 비교,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패션디자인에 대한 비평 능력을 키운다.
- 패션디자인컬렉션연구(Studies in Fashion Design Collection)
- 패션디자인에서 컬렉션의 의미에 대해 실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패션디자인컬렉션을 구성한다.
- 패션디자인특론(Special Topics in Fashion Design)
- 20세기 사회문화 변화, 20세기 패션의 역사 등 다양한 주제를 통해 패션디자인에 대해 분석하고 논의한다.
- 패션디자인프로세스(Fashion Design Process)
- 패션디자인의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조형, 색채, 재료에 대한 고찰과 패션디자인과의 상관성을 연구한다. 이를 패션디자인에 적용하여, 디자인 아이디어와 발상, 전개, 디자인 과정을 진행한다.
- 패션미학특론(Special Topics in Fashion Aesthetics)
- 다양한 철학적 관점에서 패션의 의미를 추론함으로써, 패션의 본질을 탐구한다.
- (Fashion Styling for Broadcasting)
- 다양한 매체에 나타나는 패션 스타일링을 분석하고 새로운 스타일링을 제안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 패션산업과ICT융합(Fashion Industry and ICT)
- 4차산업혁명,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미래패션산업의 변화에 대해 학문적 접근을 통해 심도깊게 논의한다.
- 패션산학프로젝트(Industry-Academy Project in Fashion)
-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패션 프로젝트를 실시한다.
- 패션색채계획(Fashion Color Planning)
- 색채에 대해 이론적으로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패션 디자인에 적용, 분석한다. 더 나아가 패션제품의 색채 계획 능력을 개발한다.
- 패션스튜디오 I(Fashion Studio I)
- 패션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실제 디자인에 적용한다.
- 패션스튜디오 II(Fashion Studio II)
- 패션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실제 디자인에 적용한다.
- 패션악세서리디자인연구(Studies in Fashion Accessory Design)
- 패션액세서리에 관한 역사적 연구, 품목별 연구를 통해 다각도로 탐색한다.
- 패션이미지메이킹(Fashion Image Making)
- 패션이미지의 의미, 패션이미지의 분석과 메이킹을 진행한다.
- 패션이미지분석론(Fashion Image Anaylsis )
- 패션이미지를 분석하는 데 배경이 될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이미지 분석을 시행한다.
- 패션전시기획 (Fashion Exhibition Planning)
- 패션 전시의 실제 사례를 연구하고, 패션 전시의 특징을 이해함으로서 패션 전시를 기획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 패션정보기획특론(Special Topics in Fashion Information Planning)
- 패션정보산업의 세계적인 현황과 변화추이에 대해 알아보고, 패션정보기획을 진행한다.
- 패션코디네이션연구(Studies in Fashion Coordination)
- 창조의 영역으로서 패션코디네이션에 대해 연구하고 고찰한다.
- 패션트렌드세미나(Seminat in Fashion Trend)
- 패션트렌드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논의와 토의를 통해 공유하고 학습한다.
- 현대디자인론(Theory of Modern Design)
- 현대디자인의 역사에 대해 학습하고, 시대를 대표하는 디자인제품에 대해 분석한다.
- 현대문화상품개발(Development of Contemporary Cultural Product)
- 문화산업의 일부로서 패션에 대해 문헌연구, 사례연구를 실시하고, 패션상품을 문화상품으로 개발해본다.
- 현대패션디자이너(Modern Fashion Designers)
- 패션디자이너 등장 이후의 패션의 역사와 패션디자이너의 역할에 대해 고찰한다.